-
목차
2025년 7월 22일부터 국내에서 애플페이 티머니 서비스가 공식 도입되었습니다. 이제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만으로도 실물 교통카드 없이 버스·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애플페이 티머니가 무엇인지, 어떻게 등록하고 충전하는지, 그리고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 가능한 사이트의 링크도 첨부하였으니, 바로 등록하셔서 사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애플페이 티머니란?
애플페이 티머니는 Apple 지갑 앱에 티머니 선불 교통카드를 디지털로 추가하여 사용하는 서비스입니다. iOS 17.2 이상의 아이폰(Xs, Xr 이후 모델) 또는 watchOS 10.2 이상 Apple Watch(Series 6, SE 2세대 이후 모델)에서 가능합니다. 버스와 지하철 등 대한민국 대부분의 티머니 사용처에서 NFC 태그만으로 탑승이 가능합니다.
등록 및 충전 방법
1. Apple 지갑 앱에서 등록 (현대카드 사용자)
지갑 앱을 열고 ‘+’ 버튼 → ‘교통카드’ 선택 → ‘Tmoney’를 선택하고, 화면 지시에 따라 등록 및 최초 충전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충전은 현대카드로만 가능하며, 자동충전 기능도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이 가장 빠르고 간편합니다.
2. 모바일티머니 iOS 앱 등록 (현대카드 없이도 가능)
App Store에서 모바일티머니 앱을 설치한 후 ‘애플 기기용 티머니 추가’ 메뉴에서 티머니 카드를 생성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카드가 없어도 계좌이체, 타 카드, 또는 삼성페이 등으로 충전이 가능하며, 자동충전 설정도 앱 내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소개
익스프레스 모드
익스프레스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Face ID나 Touch ID 인증 없이 NFC 단말기에 기기만 대면 바로 결제됩니다. 심지어 전원 절약 모드에서도 최대 5시간 사용이 가능하므로 배터리 걱정 없이 출퇴근이 가능합니다.
자동충전 기능
잔액이 설정한 기준(예: 5천 원 이하)에 도달하면 Apple 지갑 또는 모바일티머니 앱에서 자동으로 설정한 금액(3만·5만 원 등)이 충전됩니다. 단, 충전 전에 잔액 부족 메시지가 먼저 나올 수 있어 미리 잔액 관리를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Apple은 사용자의 결제 내역이나 이동 경로를 저장 또는 추적하지 않으며, 카드 정보는 암호화되어 Secure Element에 안전하게 저장됩니다. 기기 분실 시에는 ‘나의 찾기’ 앱으로 기기 잠금 처리가 가능합니다.
신청 사이트 및 등록 링크
아래는 공식 등록 및 설치 링크입니다. 안전한 사이트이며, 내용은 본문 설명과 일치합니다.
- Tmoney 공식 홈페이지 – 애플페이 티머니 등록 안내
https://www.tmoney.co.kr/
해당 페이지에서는 애플페이 티머니 첫 충전 시 3,000원 지급 이벤트도 안내되어 있으며, 등록 절차 설명과 현대카드 충전 조건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모바일티머니 iOS 앱 안내 페이지
https://pay.tmoney.co.kr/
애플 지갑 외 모바일티머니 앱을 통한 카드 생성 및 충전, 자동충전 설정 방법이 상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링크를 클릭하여 안내에 따라 등록 및 충전을 진행하시면 바로 애플페이 티머니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애플페이 티머니는 2025년 7월 22일 정식 출시된 서비스로, 실물 카드 없이도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만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특히 현대카드가 있다면 지갑 앱을 통한 등록이 가장 간편하고, 자동충전과 익스프레스 모드 덕분에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및 꿀팁
- 현대카드가 없다면 반드시 모바일티머니 앱을 설치해 계좌이체나 타 카드로 충전 가능한 경로를 확보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지갑 앱에서 등록이 불가합니다.
- 잔액 부족 에러 방지를 위해 자동충전 기준 잔액을 넉넉히 설정하거나 수동으로 충전해두세요.
- 익스프레스 모드 설정 시, Apple Watch로 이동할 경우 아이폰에서 해당 카드는 사라집니다. 기기별로 카드를 관리해야 하므로 주의하세요.
- 할인형 카드 (청소년·기후동행 등) 은 현재 애플페이 티머니로 등록이 불가능하므로, 할인 혜택이 필요한 경우 기존 물리 카드를 병행 이용하세요.
'재테크 및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경기도 전기차 구매보조금, 지금 확인하지 않으면 늦습니다! (0) 2025.07.31 직장인 월급관리 자동화 가계부 앱 추천으로 돈 관리 편하게 시작하세요! (2025년) (0) 2025.07.30 2025년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지금 신청하지 않으면 후회합니다! (0) 2025.07.29 놓치면 손해! 소상공인·중소기업을 위한 2025 납세담보 면제 안내 (0) 2025.07.28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 2025년 소상공인경감크래딧! (최대 50만 원 가능) (0) 2025.07.27 - Tmoney 공식 홈페이지 – 애플페이 티머니 등록 안내